2022년 00 대학교 입학키드 USB

- 개요

2022년 00 대학교 입학키트 USB에 의심되는 숨긴 파일이 보관되어 있어 자동화 → 행위 → 정적 순으로 분석을 진행했다.

 

- 분석 정보

# 분석 환경

OS : Windows 7 64bit, Windows 10 Pro

Tools : IDA Pro, Exeinfo PE

 

# 분석 대상

A 파일 : AUTORUN.INF

└ SHA256 : 02ef33bcb1c0575968ef1fcb5b98cf7d3fc794200a5b3fd3920d6c77822d6d82

B 파일 : ECAP.EXE (의심)

└ SHA256 : 5727c8c5dede609c9f868948696d84cfb2d6e667fcdbd04cc858028335f2c370

└ 유형 : MS Windows용 PE32 실행 파일(GUI) Intel 80386

버전 : 6.1.7601.17514

C 파일 : userinit.exe (정상) (Windows 7에서 추출)

└ SHA256 : 538fe1012fedc72727a8de0c2c01944b3d35c29812ecef88e95aac07235e0b0b

└ 유형 : MS Windows용 PE32 실행 파일(GUI) Intel 80386

 버전 : 6.1.7601.17514

B 파일은 정상 C 파일에서 감염

 

 

- 자동화 분석 (Virustotal)

분석을 시작하기 앞서, 간단하게 의심되는 B 파일와 정상 C 파일간 Virustotal을 통해 살펴보았다.

C 파일은 당연히 아무런 감지된 부분이 없지만, B 파일은 "W32.Virut"라고 윈도우 시스템 프로세스인 Winlogon.exe에 공격자가 임의 코드를 Injection 하는 행위를 통해 서버와 접촉하는 바이러스로 의심된다.

이러한 내용들은 참고삼아 행위 분석을 진행한다.

바이러스포탈 결과 B 파일 vs C 파일

 

- 행위 분석

A 파일은 아래와 같이 USB가 컴퓨터에 연결되면 특정 조건에 맞춰 자동으로 B 파일을 실행한다.

[autorun]
open=ECAP.EXE

Windows 7인 경우 B 파일이 실행하는 순간 Windows 라이브러리 창이 실행되지만, Windows 10에서는 정상적인 실행이 불가능하여 WER(Windows Error Report)가 생성된다.

Windows 7 환경에서 실행한 B 파일
Windows 10 환경에서 실행한 B 파일

즉, 특정 환경에서 조건을 맞춰야 Trigger 되는 실행파일임으로 Windows 7을 타겟으로 제작된 파일이다.

 

 

- 정적 분석

B 파일은 PE 형태로 별다른 패킹이 되어 있지 않고 C++로 만들어져 있다.

WinMain 함수에서 디컴파일된 코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이 Windows 사용자 로그온 관리자인 "userinit.exe" 프로그램과 비슷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같은 용량인척 숨겨진 코드가 어디있을지 꼼꼼히 살펴보자. (문디자슥 으딨어?! 🤨)

디컴파일하여 B와 C 파일간 WinMain() 함수 비교

우선 아래와 같이 B와 C 파일에 같이 존재하는 함수들을 몇 가지 살펴봤다.

 

1) DisableScriptZoneSecurityCheck() 함수

해당 함수가 호출된다면, 모든 사용자 레지스트리의 SEE_MASK_NOZONECHECKS = 1로 환경 변수를 설정하는 코드로 파일을 실행했을 때 경고창이 뜨지 않게 한다.

DisableScriptZoneSecurityCheck 함수 호출
DisableScriptZoneSecurityCheck 함수

2) ExecApplication() 함수

관리자 작업을 위해 리눅스에서 su 명령어처럼 Windows에서는 Runas 명령어를 사용한다. 즉, 아래 runas 코드와 함께 explorar.exe 명령어가 포함되어 있다.

ExecApplication 함수 호출
ExecApplication 함수 내 runas 관련 코드

 

 

- 결론

PC에 USB 연결 후 A 파일에 의해서 B 파일이 실행되는데 이때 Windows 7 환경에서만 Windows 탐색기(explorer.exe) 실행한다. 또한, 아래와 같이 안랩에 분석 의뢰와 함께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악성코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안랩 문의 결과

 

 

[ Reference ]

- autorun파일 설정하기 : https://shpsuperman.tistory.com/11 

- Win32/Virut.E.F : https://www.ahnlab.com/kr/site/securityinfo/asec/asecCodeView.do?virusSeq=35210&tabGubun=Print

- userinit.exe 란 무엇입니까? : https://ko.nex-software.com/what-is-userinit-exe

- [Threat Analysis] MBR 감염시키는 '공포의 부트킷' 등장 : https://www.ahnlab.com/kr/site/securityinfo/secunews/secuNewsView.do?seq=17907